Vectra C 자동차 포럼에 올라온 리뷰글입니다.


오토글림의 SRP는 이미 스월마크를 감춰주는 충진기능으로 유명한 제품입니다. 아시는 분들은 다들 아시는 제품이죠. 그리고 얼마전에 신형 SRP도 출시되었죠. 이 제품과 오토브라이트 다이렉트의 익스트림 글레이즈 비교 리뷰가 올라왔습니다.



전 글타래에서 언급했듯이, 오토브라이트 다이렉트에서 익스트림 글레이즈라는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어서 즉시 오토글림의 SRP와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일단 저는 SRP의 엄청난 팬이 아니라는 것을 밝혀두겠습니다. 이유는 약제가 너무 물고 너무 많이 사용하거나 차에 오랫동안 방치하면 가루날림이 많이 발생하는 것 때문에 즐겨사용하는 편은 아닙니다.

가격을 비교해보면 SRP는 500ml에 11.99파운드, 익스트림 글레이즈는 11파운드입니다.




테스트 시작!












일단 테스트 차량의 스월마크 사진들부터 확인해봤습니다.
 
 










테스트를 위해서 각각 제품을 핸드 도포와 머신 도포할 부분으로 판넬을 구분하였습니다. 사진상에 왼쪽이 익스트림 글레이즈, 오른쪽이 SRP입니다.









 첫번째는 핸드도포한 익스트림 글레이즈입니다. 트라이 폼 어플리케이터(저먼패드와 비슷한 어플리케이터 같습니다)의 부드러운 부분으로 작업했고 직선형태로 약제를 발라줬습니다. 작업방식이 SRP와 많이 비슷하군요. 레이어링 없이 한번만 도포하였으며 기적같은 것은 기대하지 않았습니다. 아래 사진에 보듯이 스월마크가 많이 감춰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만 깊은 스크레치는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SRP 핸드 도포입니다. 같은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했고 작업 방식도 익스트림 글레이즈와 똑같이 했습니다. 결과도 매우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두가지 제품모두 한번만 도포하였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SRP는 레이어링 하면 할 수록 더 좋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제 생각에 3회정도 레이어링 작업하면 두가지 제품 모두 더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두가지 약제를 모두 듀얼액션을 이용해서 같은 방식으로 작업해보겠습니다. 이미 경험을 통해서 SRP가 핸드 도포보다는 머신을 이용해서 도포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악몽이 될 수가 있습니다.


우선은 익스트림 글레이즈입니다. 머신으로 작업했을 경우 익스트림 글레이즈는 SRP에 비해서 매우 얇게 발리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마치 폴리싱에서 마무리 작업에서 볼 수 있는 광택이 나오는군요. 익스트림 글레이즈 사용량은 패드에 4개 점을 찍은게 전부입니다. 결과는 한번만 도포했는데 매우 인상적이였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대부분의 스월마크가 감춰졌습니다.

 




다음번에 듀얼액션 머신을 이용한 SRP의 결과입니다. 작업 방식은 익스트림 글레이즈와 같습니다. 결과 역시 훌륭하군요.

 




두가지 제품모두 대부분의 스월마크를 숨겨줬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익스트림 글레이즈가 SRP에 비해서 약간이나마 더 깊고 글로시한 광을 보여줬습니다. 


결론을 말하면, 오토브라이트 다이렉트의 익스트림 글레이즈를 듀얼액션 머신으로 작업한 결과물에 매우 인상적이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좋았던 것은 SRP에 비해서 덜 물은 것이였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머신을 이용해서 작업을 할때 약제가 덜 튀기 때문에 가루날림도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익스트림 글레이즈가 SRP보다 더 깊고 글로시한 광을 보여줬기 때문에, 간단한 폴리싱 작업으로 SRP의 좋은 대체품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모두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두가지 제품 모두 AIO(올인원)제품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LSP(Last Step Product : 왁스나 실런트)작업은 생략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