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D 오토브라이트 다이렉트입니다.
오늘은 겨울이 끝나가면서 윈터타이어를 교체하고 미뤄뒀던 휠디테일링, 휠세척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지인이 보관중이던 두툼한 윈터 타이어가 장착된 겨울용 휠 타이어의 모습입니다. 노멀 타이어로 교환해놓고 윈터 타이어 휠 디테일링을 계획 해놓고 있다가 이제서야 하게 되었네요. 본격적인 휠 디테일링에 앞서 상태를 살펴봅니다. 뒷쪽 휠이라 분진 등의 오염은 심하지 않아 보입니다.




역시나 한번도 확인해보지 못했던 휠 안쪽에는 엄청난 오염이 있습니다. 참고로 뒷바퀴입니다.



휠 구석구석 겨울내 눌러붙은 분진과 오염물들을 날려줄 베리체리 NON ACID 휠클리너[Very Cherry Non-Acid]와 퍼플레인 2.0[Purple Rain 2.0] 철분제거제를 준비합니다.




먼저 물로 앉아있던 먼지들을 한번 헹궈준 후 베리 체리 NON-ACID 휠클리너를 빅플래스트 폼트리거를 사용해 거품 형태로 아낌없이 충분히 분사해줍니다. 타이어 옆면에도 함께 분사해줍니다. 베리체리 NON-ACID 휠클리너는 타이어 세정에도 사용하실 수 있고 특히 타이어 갈변 제거에도 뛰어난 제품입니다.




구석구석 꼼꼼한 휠클리닝을 위해 디테일링 브러쉬를 이용해서 구석 구석 닦아줍니다. 많은 분들이 휠디테일링 중 가장 귀찮아하시는 부분이 바로 브러쉬 사용인데요. 특히나 스포크가 많거나 복잡한 구조의 휠인 경우 손목과 팔뚝이 아려오는 고통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브러쉬를 사용해 확인 사살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타이어 역시 브러쉬로 문질러주면 갈변도 제거되고 깨끗하게 세정된 타이어의 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로 깨끗하게 헹궈줍니다.




휠 바깥쪽의 오염물들은 휠클리너 사용만으로도 깔끔하게 제거되었습니다.




하지만 완벽한 휠디테일링을 위해 혹시 남아있을 철분제거를 퍼플레인 2.0을 이용해서 진행했습니다. 퍼플레인을 뿌려주고 10초정도 기다려주면 눈에 보이지 않아 없는 줄 알았던 철분들이 반응해 보라빛으로 흘러내립니다.



이제부터가 진짜 휠 디테일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휠 안쪽까지 확실하게 클리닝 해주는 것이 최종 미션이니깐요. 일단 원래 휠 색상이 시꺼매서 원래 그런건지 오염물들이 잔뜩 쌓여서 그런건지 분간이 어렵습니다.



휠 관리가 오랫동안 안 되었을때는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퍼플레인 2.0부터 분사해줍니다. 아무래도 휠의 안쪽이 브레이크 분진이 훨씬 더 많은 양이 축적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철분제거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타이어 안쪽면에는 바깥쪽과 마찬가지로 베리체리 NON-ACID 휠클리너를 팍팍 분사해줍니다.



이곳은 전쟁터입니다. 보라빛으로 물든 처첨하고 펌약 스멜이 진동하는...;;




브러쉬를 사용해 타이어를 꼼꼼히 세정해주니 타이어에서 갈변이 뿜어져 나옵니다. 갈변 때문에 생긴 갈색 거품이 보이시나요?



맨날 눈에 보이는 곳만 디테일링하다가 미쳐 손대지 못했던 곳을 확인하고 작업하면 보게 되는 처참한 현장입니다.



그래도 묵혀있던 때들을 시원하게 벗기는 것 같아 몸까지 개운해지는 느낌입니다. 밝게 빛나길 기원하며 깨끗한 물로 씻어냅니다.



새까맣던 휠 안쪽이 확실히 깨끗해졌습니다. 물론 완벽하게 세정되진 않아보여서 2~3회 정도 반복작업을 해줘야할 것 같습니다만...




다시 한번 구석구석 어루만져줍니다. 계속해서 철분과 반응하는 눈치만점 퍼플레인..



깨끗해졌나요?? 타이어와 림 안쪽이 확실히 깨끗해진 모습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작업은 뒷바퀴였다는 것또한 함정.





앞바퀴의 휠은 역시나 보라색 비가 철철 흘러내립니다.



나머지 휠들도 휠클리너와 철분제거제로 깨끗하게 세정해줍니다. 겁나 빡십니다. 해보실 분은 맘 단단히 먹고 시작하세요.



전륜의 림 안쪽에 철분제거제를 뿌렸더니 출혈이 너무 심합니다.



이렇게 해서 네개의 스노우 휠&타이어 디테일링이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하고도 체력이 남아있다면 휠실런트로 코팅까지 해주세요. 진정한 휠 디테일러로 인정해드립니다 ^^




이상으로 체력방전 휠 디테일링 후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AD 오토브라이트 다이렉트입니다.
오늘은 셀프세차 하는법 - 디테일링 가이드 네번째 휠세정 이야기입니다.
이전 셀프세차 하는법 - 디테일링 가이드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셀프세차 하는법 - AD의 디테일링 가이드 #1 셀프세차와 디테일링의 차이점
셀프세차 하는법 - AD의 디테일링 가이드 #2 프리워시 (Pre-wash)
셀프세차 하는법 - AD의 디테일링 가이드 #3 본세차 (Car wash)



휠세척
요즘 차량의 성능이 좋아지고 외제차 비중이 높아지면서 휠세척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무슨 말이냐면 차량의 엔진성능이 좋아지면 덩달아 브레이크의 성능도 좋아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유럽 차량들은 어마어마한 브레이크 분진으로 유명하죠. 하루만 운행해도 휠이 거무스르므하게 변해버리는 무시무시한 브레이크를 달고 나오니까요. 일주일만 주행해도 엄청난 분진으로 더러워지는 유럽차량 휠. 특히나 BMW 상위 모델들은 거짓말 안하고 신호등 10번만 걸리면 더러워진다고 합니다.




휠은 타이어 다음으로 도로면과 가장 가까이에 있고 브레이크 때문에 운행중에 언제나 고온인 상태가 됩니다. 그렇게 때문에 휠에 붙은 오염물질을 제거해주기 위해선 강력한 세정력을 지닌 휠크리너를 사용해서 세척해줘야 깨끗하게 세정이 가능합니다.


휠세척 준비물
휠세척을 하기 위한 준비물은 휠 브러쉬1, 휠 브러쉬 2, 디테일링 브러쉬, 휠 크리너입니다. 초보자의 경우 휠브러쉬의 정확한 용도를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도구 생김새에 따른 용도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휠브러쉬1처럼 원통형 기둥에 솔이나 마이크로화이버가 달려있는 형태로 생긴 휠브러쉬들은 휠의 스포크 안쪽에 있는 림(Rim)을 닦아주기 위한 용도입니다. 그래서 스포크 사이로 들어갈 수 있도록 솔형태로 되어 있는 모델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휠브러쉬2처럼 한쪽 면에만 솔이 달려있는 휠브러쉬는 휠 스포크 외부를 세척하기위한 브러쉬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디테일링 브러쉬는 스포크 사이와 볼트 등 휠브러쉬로 닿지 않는 부위들을 닦아주기 위한 용도입니다.





휠 클리너
현재 오토브라이트 다이렉트에는 휠크리너는 베리 체리 Non Acid 휠크리너와 베리 체리 Acid 휠크리너 두가지가 있는데요, 두제품 모두 최대 1:20으로 희석해서 사용할 수 있고 체리향을 가지고 있는 고농축, 고성능의 제품입니다.

베리 체리 Non Acid 휠크리너는 비산성 휠크리너로 모든 휠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크롬휠에 적용시에 1:10 이상으로 희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베리 체리 Non Acid 휠크리너 제품에 대한 상세페이지는 여기를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
베리 체리 Acid 휠크리너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산성을 띄고 있는 제품으로 베리 체리 Non Acid 휠크리너로도 지워지지 않는 심한 오염은 베리 체리 Acid 휠크리너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베리 체리 Acid 휠크리너 제품에 대한 상세페이지는 여기를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




휠 클리닝 방법



휠 클리닝에 들어가기 전 주의사항!

우선 휠을 닦기 전에 휠이 충분히 식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주행을 막 마친 후 휠과 브레이크 디스크의 온도는 꽤나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때 차가운 물을 뿌리거나 하면 디스크에 변형이 올 수 있으니 반드시 휠을 충분히 식혀준 후 휠세척을 시작해야 합니다. 셀프세차장에 도착하면 바로 세차 베이에 들어가지 마시고 세차용품들을 준비하면서 휠과 엔진룸이 식을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세요.



휠크리너를 휠에 골고루 분사해줍니다. 이때 림 안쪽까지 꼼꼼히 뿌려주세요. 그리고 휠크리너를 분사할 때 도장면에 너무 많이 묻지 않도록 조심해서 뿌려주시는게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포크 바깥쪽보다는 안쪽의 림이 오염이 더 심합니다. 1분정도 때가 불려지도록 방치한 후에 미리 준비한 림용 휠브러쉬를 이용해서 안쪽의 림을 세정해줍니다. 안쪽 림을 닦다보면 엄청난 꾸정물이 나오니 너무 놀래진 마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이렇게 생긴 휠브러쉬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은데 바로 안쪽 림 부위를 닦아주는 용도의 휠 브러쉬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쪽으로 모두 닦았으면 디테일링 브러쉬로 바깥쪽 스포크들과 볼트 구멍들을 꼼꼼히 닦아준 후 고압수로 행궈주면 됩니다.


타이어 갈변현상

차량이 오랫동안 세차를 하지 않거나 타이어 관리를 해주지 않으면 타이어가 갈색으로 변하는 징조가 보일 때가 있는데요 바로 갈변(갈색똥 -_-;)이라는 것입니다. 타이어가 갈색으로 변한채 방치하게 되면 타이어 수명에도 영향을 미치고, 세차를 마쳤을 때 타이어가 본연의 검정색이 아니라면 뭔가 찜찜하죠.



갈변 제거는 베리 체리 Non Acid 휠크리너로도 가능합니다. 휠에 휠크리너를 분사할 때 타이어에도 함께 뿌려주면 됩니다. 그리고 타이어용 브러쉬로 문질러주면 갈변이 제거됩니다.(타이어 갈변 제거를 위한 베리 체리 Non Acid 휠크리너 적정 희석비율은 1:5정도 입니다.)







분진 제거
여기서 끝난게 아닙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휠에는 도로에서 올라오는 오염물만 있는게 아니라 브레이크 분진가루들도 달라붙습니다. 휠세정이 끝났어도 눈에 보이지 않는 꺼끌꺼글한 것이 만져진다면 브레이크 분진(철분가루)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철분제거제를 이용해서 한번 더 확인사살을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철분제거제를 매번 세차할 때마다 해줄 필요가 없고 한달에 한번 또는 세차 3~4회에 한번 정도 해주면 됩니다. 물론 금전적인 여유가 있다면 매번 중성을 띈 퍼플레인으로 휠세척을 해주면 좋겠지요. 철분제거제 퍼플레인 제품에 대한 상세페이지는 여기를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





타르 제거

휠 세척을 마무리 했는데도 뭔가 검은 점들이 휠에 남아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바로 여름 장마철과 겨울철에는 아스팔트에서 올라온 타르들입니다. 이런 타르들은 힘으로 제거하려고 하면 제거도 잘 안되고, 자칫하면 휠에 스크레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휠에 붙은 타르는 주행할 때(브레이크를 자주 사용할 때) 휠이 뜨거워지면서 도장면에 비해 더욱 단단하게 고착됩니다. 따라서 이런 타르들은 타르제거제를 이용하여 제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타르제거제는 뿌리게 되면 타르를 녺여서 제거해주기 때문에 타르를 쉽게 제거하도록 도와줍니다.
타르제거제 저스트 토닉 제품에 대한 상세페이지는 여기를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







오늘 휠세척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가지 입니다. 사실은 휠 전용 실런트를 이용한 휠 코팅과 타이어 드레싱으로 타이어를 검고 매트한 광을 내주는 내용까지 넣고 싶었지만, 그 부분은 나중에 LSP(Lsat Step Product)부분과 플라스틱 및 트림 관리 부분에서 다루려고 합니다.

이렇게 휠 세척하는데에도 다양한 도구와 여러가지 단계가 있죠?! 그래서 단순히 세차가 아니라 디테일링이라고 부르나 봅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